조경코리아 고객도움센터

잔디의 이해

잔디 특징 및 기능

  • A) 평 떼
    • 시공시 잔디 필요량 100장
    • 가로 세로 18cm로 재단된 잔디
    • 가로 10장 × 세로 10장 = 100장
    • 1평당 3.3㎡
  • B) ½ 줄 떼
    • 시공시 잔디 필요량 50장
    • 가로 세로 18cm로 재단된 잔디
    • 가로 5장 × 세로 10장 = 50장
    • 1평당 3.3㎡
  • C) ⅓ 줄 떼
    • 시공시 잔디 필요량 35장
    • 가로 세로 18cm로 재단된 잔디
    • 가로 3.5장 × 세로 10장 = 100장
    • 1평당 3.3㎡
  • D) 롤잔디
    • 시공시 잔디 필요량 14장
    • 가로 60cm 세로 40cm로 재단된 잔디
    • 가로 3장 × 세로 5장 = 14장
    • 1평당 3.3㎡
구분 한국잔디 (난지형잔디) 서양잔디 (한지형잔디)
01월 물이나 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
단, 겨울 동안은 잡초도 어리기 떄문에 이때 제거하는 것이 좋다.
추위로 녹색이 희미해 질 떄 쯤 야간에 부직포나 차광재료로 보온커버를 하여 서리를 예방하면 좋다.
02월 월동하는 잡초를 제거하고 잔디가 자라기 전에 건물과 화단 등의 경계선 부분을 정리해 준다. 건조가 한달쯤 계속되면 월 2~3회 물을 준다.
야간 보온커버는 계속 하도록 한다.
03월 12개월중 잔디심기의 최적기, 새 잔디를 심거나 훼손된 곳을 보식하기 좋은 때이다. 질소 함량 10% 정도의 화학비료를 1m당 20g 비율로 시비한 후 물을 충분히 준다.
04월 물은 아직 주지 않고 잎에 희미하게 색이 들기 시작하면 서양잔디와 같은 비율로 시비한다. 생육이 왕성한 시기 1m당 30g 비율로 시비하고 월 3~4회 25mm 높이로 잔디를 깎아 준다.
05월 잔디 지하부에 활동이 점점 활발해지고, 월 1 ~ 2회 20mm 높이로 깎아준다.
짙은 녹색을 원한다면 시비 가능하다.
가장 녹색이 짙은 시기, 1m 당 30g 비율로 시비하고 월 4회정도 25mm 높이로 깎아준다.
06월 물을 아직 주지 않은게 원칙(10일 이상 비가 안 올 경우 제외) 월 1~2회 정도 깎아주고 원한다면 시비 가능하다. 병에 잘 걸리는 계절, 건조한 기미가 보이면 물을 줘야하며, 월 3회정도 25mm 높이로 깎아 준다.
07월 하루에 2mm씩 성장 장마가 끝나면 주 1회 물을 주고 월 2~3회 20mm 높이로 깎아준다. 장마가 끝난 후 가뭄이 계속 된다면 2일마다 물을 주고 비료는 1m당 40g 정도 준다.
08월 생육의 가장 바쁜시기, 1주에 1회 이상 뭉을 주고 월 2~3회 깎아준다. 매일 오전 물주기, 비료는 1m 당 10g 미만으로 병충해 피해를 대비하여 살충제 살포
09월 잡초 발생이 과다함으로 물과 비료를 주지 않는다.
월 1~2회 깎아준다.
건조한 듯 하면 3일에 한번 물을 준다.
비료는 1m 20g 정도, 월 2회 깎아준다.
10월 생육이 쇠퇴하는 시기, 물과 비료는 주지 않고, 중순쯤에 한번 한 해를 마지막 잔디 깎기를 한다. 20~30mm로 자랄때까지 매일 물과 1m 당 30g의 비료를 준다.
월 3회 깎아준다.
11월 생육이 멈추는 시기, 겨울잡초의 제초만 해주면 된다. 맑은 날이 지속되면 주 1~2회 물을 주고 월 2회 깎아준다.
12월 겨울 휴면 상태. 간간히 잡초 제거만 해주면 된다. 건조가 계속되면 월 3회 물을 준다.
생육은 멈췄지만 시비하면 잎색이 좋아진다.
  • 한국들잔디는 5~9월까지 푸른 상태를 유지하며, 온도, 슾도, 병충해에 강하며 별다른 관리가 없어도 어디서나 잘 자라는 편.
  • 서양잔디는 3~12월까지 푸른 상태를 유지하지만, 온도, 습도, 병충해에 약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
  • 18cm × 18cm 잔디를 줄떼로 심으면 1평에 30장 정도 필요합니다.

01잔디란?

  • 지면을 덮고 있는 수많은 초본류의 지피식물 중에 낮은 깎기와 답압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질감이 좋은 초종
  •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종으로 약 600속 7500여종에 달하는 종류가 있고 이중 30여종만이 실제 잔디로 이용
잔디의 형태와 구조
잔디
잔디

02환경적 기능

공기정화 (Air purification)
  • CO2 소모 : 잔디의 CO2 고정율 = 20~50 mg/d㎡/h 서울의 학교운동장 1,000만㎡를 잔디로 조성했을 경우 자동차 약 5만대가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를 소모.
  • O2 발생 : 200㎡의 잔디는 4인 가족이 소모하는 양의 산소를 공급. 서울의 학교운동장 1,000만㎡를 잔디로 조성했을 경우 약 20만 명이 필요한 산소를 공급.
  • 대기오염물질 절갑 대기의 오염원인 먼지와 중금속을 잔디가 정체시키거나 흡수하여 위혐요소를 줄여줌.(보고서에 따르면 미국내 잔디에 의한 대기중 먼지 감소효과가 연간 12백만톤에 달함)
열섬현상 경감(Heat island mitigation)
  • 증산작용은 물리적으로 물을 수증기화 화는 과정으로 기화시 열을 흡수하여 대기의 온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음
  • 잔디밭의 평균 증발산율을 일 5mm 로 가정할 때 단위면적당 물 증발량은 5,000g/㎡/day임.
    ( ≒ 서울의 학교윤동장 1,000만 ㎡ 를 잔디로 저성했을 경우 약 32만대 분의 에어컨을 가동하는 에너지의 양).
    고온기 평균 5~10℃ 온도저하 효과
- Dr. j. Beard (1994)
표면온도 버뮤다그래스 잔다기 없는 운동장 인조잔디운동장
최고(℃) 31 39 70
최저(℃) 24 26 29
- Bringham Young 대학의 연구결과 (2002)
표면온도 잔다기 없는 운동장 콘크리트 아스팔트 인조잔디 잔디운동장
평균온도(℃) 36.8 34.5 43.1 47.4 25.7
우수저장(Drain reservoir)
  • 녹화된 잔디층과 토양층은 일정량 이상의 보수능력(유출 억제 효과)을 지님.
  • 특히 호우시 초기 강우 유출 속도를 지연시켜 홍수 피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
  • 배수층, 중간층, 상토층의 두께가 500mm 인 경우
    → 단위 면적당 저장 가능량 = 1㎡ × 0.2m = 0.2㎥(톤)
    → 서울의 학교운동장 1,000만㎡를 잔디로 조성했을 경우 일시 저장 가능한 수량은 200만톤에 달함.
우수침투 과정에서 우수유출 계수에 대한 시간 지연 효과
구분 콘크리트 지붕 아스팔트 지붕 잔디와 수목
유출계수 0.85 ~ 0.95 0.8 ~ 0.9 0.05 ~ 0.25
방음 (Soundproof)
  • 잔디의 토양층은 소리 파장을 흡수하여 분쇄시킴으로써 소음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음
  • 토양층은 소리파장이 표층에 도달하면 내부로 흡음시키는 효과가 있기 떄문에 단파장이 장파장으로 변화되어 퍼짐.
  • 소음흡수효과 : Cook, Van Haverbake (1971), Robinette (1972)

03생태적 기능

생태계 회복 (Ecosystem recovery)
  • 도시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토양 미생물, 토양생물, 곤충류, 조류 등)의 서식처 제공.
  • 종 다양성을 유지시켜 생태계 파괴 속도를 감소시킴
바이오매스 생산 (Biomass production)
  • 잔디 1ha의 면적에서 연간 1~30톤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11~16톤의 근권부 바이오매스를 생산
  • 토양 생태계에 에너지 공급 ㅣ 토양 양분, 토양오염방지
    주) 바이오매스(Biomass) : 어느시점에 임의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군(生物群)의 양을 중량이나 에너지량으로 나타낸 현상. 생물체량(生物體量) 또는 생물량이라고 함.
토양침식 방지 (Soil erosion control)
  • 잔디로 피복된 지면은 토양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빗방울 충격을 피할 수 있어 토양의 비산을 막음.
  • 잔디면은 수량의 유출량 저하와 유속의 감소로 토사유실과 토양의 지반 붕괴를 막음.

04사회적 기능

부상감소 (Injury reduction)
  • 단디 피복은 충격완화 효과가 있어 운동에 적합한 표면 제공.
    (학교운도장 부상의 약 21%가 단단한 운동장 표면에 기인 /Harper등, 1984)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공간 (Sports & recreation area)
  • 직접적인 이용 외에도 운동욕구를 증대시키고 자연과의 접촉 기회를 증대시켜 정서적 안정감 제공.
  • 강우 후 진 땅, 폭염 중의 운동장은 운동에 부적합한 장소이나 잔디공간은 온도가 저하되어 운동에 적합한 환경 제공
경관향상 (Enhancement landscape)
  • 쾌적한 녹색환경, 녹지에 대한 욕구 증대
  • 잔디조성은 그 자체로서 쾌적한 녹색환경 제공.
커뮤니티 형성 (Community formation)
  • 잔디는 지역주민에게 생활권 녹지로서 기능.
고용창출 (Creation of new jobs)
  • 도심녹화에 대한 사회전반의 이해와 관심 증대.
  • 시공 이후 발생하는 유지관리상의 문제들을 예방.
  • 저소득층 일자리 창출 효과.

잔디 종류 및 특성

01잔디의 종류

분류 초종 한국기후 적응성 사용 예








블루그래스
(Bluegrass)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월드컵경기장
러브 블루그래스(Rough bluegrass) -
애뉴얼 블루그래스(Annual bluegrass) -
캐나다 블루그래스(Canada bluegrass) -
벤트그래스
(Bentgrass)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골프장그린
콜로니얼 벤트그래스(Colonial bentgrass) -
벨벳 벤트그래스(Velvet ventgrass) -
레드톱(Red top) -
라이그래스
(Ry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
이탈리안 라이그래스(Italian ryegrass) -
훼스큐
(Fescue)
광엽 톨훼스큐(Tall fescue) 도로 사면 녹화지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
세엽 크리핑레드훼스큐(Creeping red fescue) -
츄잉훼스큐(Chewings fescue) -
하드훼스큐(Gard fescue) -
쉡훼스큐(Sheep fescue) -




한국잔디류
(Zoysigrass)
광엽 4.0mm 이상 : 들잔디(야지)
중엽 1.5 ~ 3.9mm : 중지
세엽 1.4mm 이하 : 금잔디(고려지), 비로드잔디
버뮤다그래스
(Bermudagrass)
버뮤다그래스(Common Bermudagrass) -
개량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 Hybrid)
(○ : 양호, △ : 보통, - : 불량)

02잔디의 종류별 환경적응성

분류 초종 환경적응성
내한성 내서성 내음성 내답압성 내건성 내습성 내염성




블루그래스
(Bluegrass)
켄터키 블루그래스
(Kentucky bluegrass)
강함 보통 보통 보통 보통 약함 보통
벤트그래스
(Bentgrass)
크리핑 벤트그래스
(Creeping bentgrass)
매우강함 보통 강함 약함 매우약함 보통 강함
라이그래스
(Ry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
(Perennial ryegrass)
보통 매우약함 보통 강함 약함 매우약함 보통
헤스큐
(Fescue)
광엽 톨훼스큐
(Tall fescue)
강함 보통 강함 보통 강함 강함 보통
세엽 터프타입 톨훼스큐
(Tuf type tall fescue)
강함 보통 강함 보통 강함 강함 보통
츄잉훼스큐
(Chewings fescue)
강함 약함 매우강함 약함 강함 약함 약함




한국잔디류
(Zoysiagrass)
광엽 4.0mm 이상
:들잔디(야지)
보통 매우강함 약함 매우강함 매우강함 강함 매우강함
중엽 1.5 ~ 3.9mm
: 중지
약함 매우강함 약함 매우강함 매우강함 강함 강함
세엽 1.4mm 이하
: 금잔디(고려지)
약함 강함 약함 매우강함 강함 강함 강함
버뮤다그래스
(Bermudagrass)
개량버뮤다그래스
(Bermudagrass Hybrid)
매우약함 매우강함 매우약함 강함 매우강함 매우강함 매우강함

03잔디의 종류별 연중색상변화

분류 초종 환경적응성
01월 02월 03월 04월 05월 06월 07월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블루그래스
(Bluegrass)
캔터키 블루그래스
(Kentucky bluegrass)
밴트그래스
(Bentgrass)
크리핑 벤트그래스
(Creeping bentgrass)
라이그래스
(Ry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래스
(Perennial ryegrass)
훼스큐
(Fescue)
광엽 톨훼스큐
(Tall fescue)
세엽 터프타입 톨훼스큐
(Turf type tall fescue)
츄잉훼스큐
(Chewings fescue)




한국잔디류
(Zoysiagrass)
광엽 4.0mm 이상
: 들잔디(야지)
중엽 1.5 ~ 3.9mm
:중지
세엽 1.4mm이하
: 금잔디(고려지)
버무다그래스
(Bermudagrass)
개량버뮤다그래스

잔디 조성방법

01한지형잔디 조성방법 및 장단점 비교

항목 파종 롤잔디 비고
조성시기 반드시 초봄이나 초가을 파종 혹한기와 혹서기 제외하고 연중 가능
조성기간 조경용 : 3~6개울
스포츠용 : 약 1년
조경용 : 식재 즉시
스포츠용 : 식재 후 4~6주
조성비용 파종비 저렴, 재배관리비 높음 잔디구입비 높음
유지관리비 매우 저렴
조성완료까지 롤잔디로 조성하는 비용이 약 30% ~ 50% 높음
장점 조성비용이 적게 듦 연중 조성시기에 제약을 받지 않음
조성기간이 매주 짧음
전문성 없어도 실패 위험부담이 전혀 없음
즉시 완성되어 만족도 높음
단점 조성시기에 제약을 받음
조성기간이 오래 걸림
(생육 관리문제 발생시 상당히 지연됨)
전문성을 가진 관리유지가 필수
(집약적 관리)
조성 실패에 대한 위험 부담
조성비용이 비교적 많이 듦

02한국잔디 조성방법 및 장단점 비교

항목 줄떼 평떼(소규격) 롤잔디(대규격) 비고
조성기간 1년 이상(여름철 두 번 경과) 6개월 이상
(여름철 한 번 경과)
삭재 즉시 완성 단, 스포츠용의 경우는 줄떼, 평떼 조성시 여름철이 한번 더 경과되어야만 완전한 잔디 조성
조성비용 저렴 상대적으로 고가 상대적으로 고가 평떼 조성비용은 줄떼의 약 2배
장점 조성비용이 저렴 조성기간이 짧음 조성기간이 짧음
단점 조성기간이 오래 걸림
보식 작업 필요
조성비용이 고가 조서이용이 고가
한국잔디 파종방법은 파종시기, 종자의 발아율, 파종 후 재배관리 기술 등의 문제로 거의 채택하지 않고 있어 비교대상에서 제외
※ 한국잔디와 한지형잔디의 조성시기와 기간 비교
항목 한국잔디 한지형잔디 비고
조성시기 큰 제한은 없으나 봄철이 유리 파종 : 초봄 또는 초가을
롤잔디 : 연중 제한 없음
조성기간 빠른 순서
① 한지형 롤잔디
② 한지형 잔디 파종
③ 한국잔디 평떼
④ 한국잔디 줄떼
조성기간 줄떼 : 장기간 소요 (여름철 1~2회 경과)
평떼(소규격) : 단기간소요(여름철 1회 경과)
평떼(대규격) : 식재 즉시 완성
파종 : 조경용 3~6개월 / 스포츠용 약 1년
롤잔디 : 식재 즉시 완성

03용도별 조성방법 선택기준

용도/조성방법 한국잔디 한지형잔디 비고
줄떼 평떼 파종 롤잔디

(20×20)

(30×30)

(40×40)
조경용 정원, 공원, 각종녹지
옥상·인공지반 × × ×
단기간 녹화공간 × × × × 모델하우스
이벤트 전시장
스포츠용 운동장 × × ×
(긴급시)
골프장 그린 × × × ×
(긴급시)
× × ×
페어웨이 × ×
(긴급시)
러브